[한국농어민뉴스] 수과원, 고수온 대응 사전 점검 실시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7-04 09:56
  • |
  • 수정 2025-07-04 09:56
글자크기

수온 가파르게 상승, 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자체 점검 회의 개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올여름 우리 바다의 고수온* 경향이 빠르고,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며, 고수온 발생 대비하여 수과원 본원에서 자체 대응 회의를 개최했다.

* 고수온 특보단계: (예비특보) 수온 25도달이 예상되는 해역 (주의보) 수온 28도달 또는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해역 (경보) 수온 28이상이 3일 이상 지속 또는 지속이 예상되는 해역

 

실제로 지난 주말부터 시작된 전국적인 폭염의 영향으로 서해, 남해 중·서부 및 제주 연안의 수온은 불과 5~6일 사이에 일 평균 수온이 2~4급상승하였다.

* 주요 관측소의 628일과 73일 일평균 수온 변화() : 서산 창리(23.025.9), 제주 중문(22.125.6), 여수 신월(23.526.8), 남해 강진(22.325.6)

 

수과원장 주재로 이루어진 이번 회의는 수산재해대응팀 및 각 권역별(동해, 서해, 남해, 남동해, 부산·울산, 제주, 내수면) 고수온 대응반 100여 명이 참여하여 올여름 해양예측 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 수온 관측 시스템 상황 등 특보 발령에 활용되는 권역별 수온 모니터링 상황을 최종 점검하였다.

 

또한, 해수부와의 고수온 위기경보 발령 체계와 지자체, 수협 등 유관기관 간 비상연락 체계를 점검하고, 권역별 우심해역 사전대응과 피해 발생 시 피해복구 지원 대책 등을 꼼꼼히 확인하였다.

 

7월 중순에는 고수온 피해가 우려되는 완도, 통영 등 양식시설 밀집 해역과 과거에 피해가 발생한 해역을 중심으로 양식생물 관리요령을 전파하고 어업 현장의 애로사항도 청취할 예정이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올해도 장마 이후 폭염과 함께 고수온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어느 때보다 철저한 사전 대비가 중요하다라며, “양식 현장에서는 양식피해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수온 대응 요령을 숙지하는 등 사전에 대비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