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새만금간척지서 산업용 고구마 재배 시작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6-30 11:22
  • |
  • 수정 2025-06-30 11:23
글자크기

관개수 염 농도 0.4% 이하에서 고구마 재배 가능

덩이뿌리 수확용은 호풍미’·‘소담미’, 지상부는 통채루가 수량성 높아

대규모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 생산수입 원료곡과의 경쟁 기반 마련 기대

 

국내 식용 고구마 대부분은 국산인 데 반해 산업용 고구마의 78%는 외국산이다. 전분, 주정, 제당,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구마 수요가 늘어나면서, 원료 자급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새만금간척지에서 산업용 고구마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관개수 염 농도 기준을 설정하고, 재배가 가능한 고구마 품종을 선발했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 실험 결과*, 관개수 염 농도가 0.4% 이하일 때 고구마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삽식 후 30일 이내 초기 생육은 다소 지연됐지만, 이후에는 회복돼 정상적으로 생장했다.

*(삽식) 620(수확) 112

 

덩이뿌리(괴근) 수확용으로는 호풍미’, ‘소담미’, ‘단자미’, 지상부(·줄기 포함) 수확용은 통채루’, ‘소담미수량성이 높았다.

 

덩이뿌리 생체수량은 호풍미가 헥타르(ha)당 약 51톤으로 가장 많았고, ‘소담미39, ‘단자미28톤이었다. 지상부 말린 수량은 통채루헥타르당 약 7톤으로 가장 많았고, ‘소담미’ 4.1, ‘호풍미’ 2.8톤 순이었다. 지상부의 루테인, 폴리페놀산 등 기능성 물질 함량도 일반 노지 재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한, 관개수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고구마 식물체의 나트륨(트륨이온(Na+)) 함량도 증가했다. 특히 지상부보다 덩이뿌리에서 나트륨이 더 많이 축적됐고, 고구마 짠맛이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특성으로 간척지에서 재배하는 고구마가 식용보다는 산업용에 더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염 농도 변화는 기능성 성분에도 영향을 미쳤다. 고구마 지상부의 루테인 함량은 관개수 염 농도 0.2%*, 폴리페놀산 0.4%**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짠맛을 유발하는 염분이 오히려 고구마 식물체 내 기능성 물질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개수 염 농도 0.2%: ‘통채루’, ‘소담미의 루테인 함량 가장 높음

**관개수 염 농도 0.4%: ‘통채루의 폴리페놀산 함량 가장 높음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센터 고종철 센터장은 새만금간척지는 밭작물 재배지로 조성돼 다른 간척지에 비해 염 농도가 낮고, 대규모 농경지가 형성돼 있다.”라며, “향후 산업용 고구마 원료곡을 대규모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지면, 수입 원료곡과 경쟁에서도 뒤처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