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뉴스] 어린 도루묵 20만 마리 방류

  • [한국농어민뉴스]
  • 입력 2025-05-14 13:25
  • |
  • 수정 2025-05-14 13:26
글자크기

국립수산과학원, 동해 도루묵 자원회복을 위해 방류 추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최용석, 이하 수과원)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어린 도루묵 약 20 마리를 강원도 고성군 거진항·아야진항과 양양군 남애항 인근에서 바다에 방류했다고 밝혔다.

* 도루묵은 매년 11~12월이 되면 수심 10m 이내의 얕은 연안으로 들어와 모자반 등 해조류에 알을 붙여 산란하고, 알은 이듬해 1~2월경에 부화함

 

최근 우리나라의 도루묵 어획량*20167,462톤에서 2024431톤으로 급감하면서 자원회복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도루묵 어획량() : (’16) 7,462 (’19) 3,067 (’22) 1,409 (’24) 431

 

이에 수과원 동해수산연구소는 지난해 말, 어업인, 지자체, 유관기관 등과 함께 도루묵 자원회복 전담반(TF)’을 구성하고, 도루묵의 산란기 동안 그물에 붙어 려지는 알들을 수거해 부화시킨 후 방류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 계획에 따라 동해수산연구소는 지난해 강원도 고성군 거진항·아야진항, 양양군 남애항 등 3곳에 실외부화기를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연구소 내에도 실내부화기를 준비하여, 강원도 연안자망협회 소속 어업인들의 협조를 받아 세 차례 이상 도루묵 알을 수거해 부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실외부화기에서 자연 부화한 도루묵 치어는 3월 말에 방류했으며, 실내 조에서 키운 도루묵(3내외) 1천여 마리는 4월 말 양양군 남애항 인근 해역에 방류했다. 이후 5월에 해당 해역을 모니터링한 결과, 방류한 도루묵은 모두 바다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루묵은 2006년부터 약 10년간 어업인, 지자체, 정부 등이 협력해 자원회복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특히, 동해수산연구소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강원도 주요 항 내에 실외부화기를 설치해 4년간 약 460* 마리의 어린 도루묵을 방류한 경험과 관련 기술을 가지고 있다.

* 방류량(마리) : ’1030, ’1170, ’12130, ’13230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이번에 방류한 어린 도루묵이 무사히 성장해 3후 어미 도루묵으로 돌아오길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과학적인 원조사와 체계적인 자원관리, 지속적인 방류사업을 통해 도루묵 자원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규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0/300

총 의견수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