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박정숙 기자 pjsuk92@naver.com [한국농어민뉴스] 국제남도음식문화큰잔치, 27~29일 목포문화예술회관서 열린다 [힌국농어민뉴스] 전남도-광주시-한전, 신재생에너지 확대 맞손 [한국농어민뉴스] 전국 다문화가족, 모국춤 페스티벌 [한국농어민뉴스] 노후 산단 미래 신산업 육성기지 도약 발판 [한국농어민뉴스] 고수온으로 김 양식 채묘 적기 늦어져 [한국농어민뉴스] 벼멸구 긴급방제 총력 곡성 석곡농협, 베트남·오스트리아·호주 등에 수출 개시 전라남도가 국내 쌀값 하락에 따른 위기 극복 긴급 대책으로 전남 해외 상설판매장을 통해 전남쌀 수출을 본격 개시하는 등 쌀 수출 1천 톤 목표 달성을 위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곡성 석곡농협이 대표 브랜드쌀인 ‘백세미’와 ‘잠자리가 노닐던 쌀’을 베트남과 오스트리아, 호주 등 3개국에 총 50톤 규모의 수출 선적식을 개최했다. 이번 ‘하늘길 모노레일’ 등 5대 랜드마크 담은 기본계획 확정국비 1천475억원…남해안 새 명소로 2031년 개원 예정 국립난대수목원은 완도 군외면 대문리 산109-1일원(도립 완도수목원) 381헥타르에 국비 1천475억 원을 들여 조성된다. 지난 8월 기본계획을 완료했고, 앞으로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후 착공해 2031년 개원될 예정이다. 지난 1991년 개원해 운영 중인 도립 완도수목원은 국내 유일의 난대수목원이다. 인프라 확충·기술개발·인력 양성 등 내년 국비 629억 확보 전라남도는 2025년 정부 예산안에 에너지 분야 국비 629억 원을 확보, 분산에너지 등 전남 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확보된 국비는 에너지 분야 인프라 확충, 기술개발 및 재생에너지산업 지원, 맞춤형 에너지복지, 에너지 인력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전남도가 글로벌 에너지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영동와인 베를린 와인트로피 2024 금상 3관왕 달성 K-와인의 선두주자 영동와인이‘베를린 와인트로피 2024하계 테이스팅’에서 금상을 3종 수상하며 영동와인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입증했다. 이번 대회에서 영광의 주인공이 된 영동와인은△도란원 미소랑(2021)△불휘농장 청수화이트(2023)△율와이너리 화이트 드라이13(2022)이다. 베를린 와인트로피는 세계5대 국제 와인품평회 중 하나로, 국제와인기구(OIV) 매실 냉해·마늘 2차생장·양파 생육불량·우박과 강풍 피해국비 지원금 143억 원 추석 전…나머지 복구비 9월 지급 전라남도는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발생한 매실 냉해, 마늘 2차 생장, 양파 생육 불량, 호우, 우박과 강풍 등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농작물에 대해 총 211억 원의 복구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특히 피해 농업인의 어려움을 감안해 국비지원금 143억 원은 추석 전에 우선 지급했고, 나머지 복구비도 9 산림박물관·전문소원·아열대온실·탐방로 등 힐링 최적 전라남도산림연구원 완도수목원(원장 이석면)은 2024년 추석 연휴 기간 수목원 구역 전체를 무료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번 무료개방은 도민과, 귀성객, 관광객에게 국내 최대이자 유일한 난대수목원에서 산림휴양을 즐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개방시설은 31개 전문소원과 산림박물관, 아열대온실, 탐방로, 등산로 등 실내외 관람시설이다. 완도수목원은 2천33 목포대서 유망기업·글로벌 우수인재 만남의장 마련법률과 비자 상담·취업 컨설팅·메이크업 창구 호응 전라남도는 11일 국립목포대학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내 취업 및 정주를 돕기 위한 취업박람회를 첫 개최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는 교육부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지역기업의 인력 수요를 파악하고 도내 정주를 희망하는 외국인 유학생들과 연계해, 글로벌 인재 발굴 및 지역 2025년 정부예산안에 91억 증액된 319억원 반영지급 상한 면적 확대 등으로 농가 소득 안정 기대 전라남도는 2018년부터 동결된 ‘친환경농업직불금’의 지원단가 인상을 끈질기게 건의한 결과 2025년 정부 예산(안)에 91억 원 증액된 319억 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전남도가 2022년부터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의 소득 감소 및 생산비 보전 등 친환경농업 확산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재정부, 국회 등에 친환경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