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제주도, 일회용컵 보증금제 시행을 위한 법안 마련 [한국농어민뉴스] 케이(K)-라면,역대 최대 실적 돌파! [한국농어민뉴스] ‘부울경 관광기업’ 첫 공동 팝업스토어 오픈! [한국농어민뉴스] 맥류 적기 파종에 따른 월동 피해 최소화 [한국농어민뉴스]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한국농어민뉴스] 쌀 등급판별기 국산화 개발에 착수 국민 건강과 밀접한 지상 미세먼지 농도값 제공해 대기질 감시·분석 강화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10월30일부터 환경위성센터누리집(nesc.nier.go.kr)을 통해 정지궤도 환경위성(천리안위성2B호)에서산출한‘지상 미세먼지(PM-10, PM-2.5)추정농도값(수치자료)’을 실시간으로제공한다. 지상 미세먼지 추정농도는 환경 위성이 관측하는 대기 전체층 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지상에서의 농도 소(牛)프라이즈!“강원한우”최대 40% 할인춘천시청 광장, 한우 할인판매·한우버거 나눔·사은품 증정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춘천시, 전국한우협회 강원특별자치도지회, 강원한우조합공동사업법인 등과 협력하여 11월 1일(금)부터 11월 3일(일)까지 3일간 춘천시청 호반광장에서 「강원한우와 함께하는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11월 1일 “한우 먹는 날”을 맞이하여 생산비 상승 및 2년 연속 배출량 감소, 목표대비 6.5% 초과 감축「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 개최 온실가스 감축, 기후적응, 국제 기여 등 기후변화 대응 실적, 국제연합 최초 제출우리 기업의 탄소 산정·보고·검증(MRV) 역량 제고 지원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이하 ‘탄녹위’)는 10월 30일(수) 정부 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 농업진흥지역(구(舊) 절대농지) 해제 1호 수혜! “강릉·철원·양구·인제”강원자치도「농촌활력촉진지구」전국 최초 지정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10월 30일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종합계획 심의회(위원장 김진태 도지사)를 개최하고, 강원특별법 농지특례의 핵심사항인 ‘농촌활력촉진지구’를 강릉, 철원, 양구, 인제 총 4개 지역으로 최초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6월 8일 강원특별법 시행 후 단 4개월만이다.농촌활 ‘혈당 스파이크’ 대체어 ‘혈당 급상승’, ‘블랙 라벨’ 대체어 ‘최상급’, ‘크로스 체크’ 대체어 ‘교차 검증’ 등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2024년 3분기에, 우리 사회에 유입된 외국 용어 28개를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새말모임과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 위원회 심의·의결로 ‘혈당 스파이크’, ‘블랙 라벨’, ‘크 프로젝트당 최대 500억원 지원, 공고·신청 기간:10.31(목)~11.18(월) 온실가스 감축 시설과 연구개발(R&D)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 정부가 800억원 규모의 융자를 추가로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산업계 탄소중립 전환을 촉진하는「’24년도 탄소중립전환선도프로젝트융자지원」사업 대상 기업을 10월 31일부터 11월 18일까지 추가 모집한다고 밝혔다. 앞서 1,2차 농지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령안 입법 예고가설건축물 형태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 근거 마련수직농장을 농지전용 없이 일정 지역 내 농지 위 설치 허용농업진흥지역 내 농기자재 판매시설 설치 허용농지개량 신고 절차,지목변경 신고 의무,농지 관리 계획 수립 절차 등 체계적인 농지관리를 위한 세부적인 규정 마련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 수직농장 입지규제 완화 등 올해 초 발표한 민생토론회 갯벌 세계유산의 가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오는 11월 갯벌 세계유산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해양생태관광 프로그램을 고창과 서울 그리고 서천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해양생태관광 프로그램은 2021년‘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해양자원, 지역주민, 관광객의 공존을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생태관광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