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하동세계차엑스포 성공 위해 마산수협 힘 보탠다! [한국농어민뉴스] 농어촌민박사업 인허가 정보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개방’ [한국농어민뉴스] 농업용 호소 수질 조사로 농작물 안정성 확보 [한국농어민뉴스] 매끈한 사과 생산…유과기부터 관리해야 [한국농어민뉴스] 전남도, 중소형 선박 고속엔진 수리 사업 선도한다 [한국농어민뉴스] 공공액셀러레이터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팁스(TIPS) 운영사 선정 소형선박의 검사 효율성을 높이는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개정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소형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선박검사에 필요한 제반 비용과 시간 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박안전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4월 12일(수)부터 시행한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이나 항만‧어항구역 등 평온한 수역을 항해하는 총톤수 5톤 미만의 소형선박 중, 선외기 선박(선체 외부에 추진기관 윤재갑 의원, 「쌀가공산업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재갑 의원(더불어민주당 해남·완도·진도)이 쌀 가공식품에 사용된 쌀의 생산연도와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13일 대표 발의했다. 일반적인 식품의 경우,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품명, 내용량 및 원재료명, 제조일, 유통기한 등을 표 2023년 청년후계농·후계농업경영인 748명 역대 최다 선발 전라남도가 미래 전남 농업을 이끌 청년 창업형 후계농업경영인(청년후계농)과 후계농업경영인을 역대 최다인 748명을 선발하는 등 스마트 청년농업인 1만 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선발 인원은 청년 창업형 후계농업경영인 607명과 후계농업경영인 141명 등 역대 최다인 748명이다. 지난해보다 285명이 늘었다. 청년창업형 후계농업경영인은 만 1 ‘폴리에틸렌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기술 개발·제작·실증 전라남도는 목포시·여수시·영암군의 해안 일원과 영암 대불국가산단, 여수국가산단, 여수 율촌산단이 ‘친환경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돼 친환경 선박 기술을 선도하게 됐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 소형어선의 96%에 사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은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어선 건조 시 인체에 해로운 분진이 발생하며, 폐기 시 톤당 1 올해 12월 중 “양식산업 전략 품목 육성방안” 발표 예정 해양수산부는 4월 13일(목)부터 14일(금)까지 로얄호텔 서울에서 ‘양식산업 미래 전략 품목 선정 워크숍’을 열고, 2030년까지 중점적으로 육성할 전략 품목에 대해 논의한다. 양식수산물 생산량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품목에 제한된 수요, 원물 중심의 생산체계 등으로 인해 부가가치 창출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 방송대학 등 모든 대학의 학위취득예정자까지 포함하도록 취업대상자 범위 확대- 농산물우수관리 시설 세척·포장 작업장 및 수처리설비 시설 기준 완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4월 12일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개선 배경은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기관(이하 우수관리인증기관) 및 우수관리시설의 지정기준을 완화하여 관련분야 인력 채용 및 취업 기 - 5년간 136억 원 규모 16개 농림사업 포괄(패키지) 지원- 지역 농산물이 지역에서 우선 소비되는 선순환 체계구축 기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먹거리계획 포괄(패키지) 지원’ 사업자로 지자체 8곳을 선정하였다. 지역먹거리계획 포괄(패키지) 지원은 지역 내 먹거리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고, 먹거리 안전관리와 환경부담 완화, 취약계층 먹거리 복지 제고 등 먹거리 이슈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종합전략(지역먹거리계 조중생종품종·하우스 재배기술 도입해 출하 3개월 앞당겨 전라남도농업기술원은 자체 육성한 조중생종 비파인 ‘조아비’ 등 3가지 품종의 하우스 재배 기술을 지원, 출하 시기를 3개월 앞당겨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고소득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 적용으로 노지 재배 생산 대비 판매 단가는 2.7배 증가한 kg당 4만 5천 원, 단위 면적당 수익도 10a당 1천만 원을 기록해 3배의 고수익을 올린 것으로 분석됐 <<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