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가 만드는 한국농어민뉴스 NEWS 당신의 생생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황규형 기자 sky3art@hanmail.net [한국농어민뉴스] 충남지역암센터 개소, 암 관련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 [한국농어민뉴스] 한국민화뮤지엄, 문선영 작가 초청 ‘화(華)’전 개최 [한국농어민뉴스] ‘기고문’ 보일러 혁신으로 환경 문제 해결한다 [한국농어민뉴스] 기업 버틀러(Butler)가 기업지원서비스를 책임진다 [한국농어민뉴스] 농촌 역사 여행지 8선 소개 [한국농어민뉴스] 경북도, 곤충‧양잠 가공지원 센터 본격 운영 유아숲체험원에 6,122주 식재 충남도는 7일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아산시, 아산시자원봉사센터, 현대트랜시스와 함께 아산시 중앙공원 유아숲체험원에 ‘탄소중립 자원봉사 8호 숲’을 조성했다. 이날 숲 조성 행사에는 도와 시 관계 공무원, 임동규 충청남도자원봉사센터 이사장, 박성순 도자원봉사센터장, 신동수 현대트랜시스 상무, 박진목 현대엠시트 상무, 자원봉사자 등 40여 명이 참여했다. 이번 8호 숲은 지난해 11 전국 최초 농업환경 보전 가치 높은 마을 유기농 생태 마을 지정 지원 전라남도는 지속적 가능한 농업환경 조성과 기후변화 대응, 주민 소득증대 성공모델 구축 등을 위한 ‘상반기 유기농 생태 마을’ 4개소를 신규 지정했다. 현재 49개소로 2026년까지 100개소까지 육성한다는 목표다. ‘유기농 생태마을’은 10호 이상의 농가가 참여하는 친환경농업 실천 마을 중 친환경인증 면적이 10ha 이상이면서 유기농 인증 면적 비 3,000여 명 탑승해 7일간 일본, 대만 관광 경북도는 5일 포항 영일만항에서 국제크루즈 유치 시범사업의 첫 출항식을 개최했다. 이번 시범 운항은 크루즈 운항의 모항지나 기항지로서 영일만항의 가능성을 점검하고 운항 상 문제점을 분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간 영일만항에는 주로 5,200톤에서 50,000톤급이 입항했었으나, 내년 8월 포항 영일만항 국제여객터미널 기능 확장 준공에 앞서 이번 출항식을 통해 포항에 다습한 환경 조건에 약제 사용 등 예방 안내 최근 잦은 강우로 충남도 내 감자 주 재배지인 서산·당진 지역에서 감자 역병이 발생한 가운데, 도 농업기술원이 역병 확산 방지를 위해 관련 방제법을 제시하고 각별한 주의를 부탁했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감자가 자라 골이 무성해졌을 때 서늘한 온도(20℃ 전후)가 지속되고 환경 조건이 상대습도 80%로 다습하면 감자 역병이 발생하는데 최근 잦은 강우로 발병 환경 ‘예산 신 활력 업타운’ 7개 부처 공동 공모 사업 대상지 선정 ‘백종원 매직’으로 유명한 충남 예산시장 인근에 취·창업 청년들을 위한 주거지가 들어선다. 또 예산시장 인근 마을회관을 리모델링해 청년 레지던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버스 스테이션을 만들어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장 접근성을 높인다. 도는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 등 7개 부처가 공동 시행한 지역활력타운 공모에서 ‘예산 청년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신 활력 업(U 지역활력타운(마을) 부처 공동공모 결과 7개 대상지 시・군 선정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활력타운(마을) 공모결과 강원 인제군, 충남 예산군, 충북 괴산군, 전남 담양군, 전북 남원시, 경남 거창군, 경북 청도군 지역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활력타운(마을)은 은퇴자, 귀농·귀촌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기 위하여 부처별 독자적인 내년 5월 31일까지 69척의 여객선을 최대 50% 할인된 운임으로 이용 가능 해양수산부는 6월 1일(수)부터 2023년도 연안여객선 할인이용권인 ‘바다로’ 판매를 시작한다. ‘바다로’는 국내외 만 35세 이하의 청년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우리 바다와 섬을 여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안여객선 할인이용권이다. 2015년 12월에 출시된 이후로 최근까지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바다로’ “위험물 선박운송 기준” 개정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섬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위험물 선박운송 기준」을 개정하여 6월 1일(목)부터 에어컨‧냉장고 설치나 수리에 필요한 고압가스를 여객선에 휴대‧반입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그간 에어컨‧냉장고의 설치나 수리에 필요한 용접용 가스, 냉매 등 고압가스류는 위험물 운송용 시설과 구조를 갖춘 선박에만 실을 수 있었으나, “위험물 선박운송 기준” <<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